전선을 선택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 중 하나는 바로 전선 굵기, 즉 전선의 단면적입니다. 그래서 이를 나타내는 단위로는 넓이의 단위인 제곱밀리미터(㎟)와 스퀘어(sq)를 사용하며, 두 단위는 동일한 의미로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차이가 있습니다. 전선 굵기를 말할 때 제곱밀리미터와 스퀘어를 혼용해서 사용하기도 하는데요. 또는 ㎟로 표기되어 있는데 스퀘어라고 읽기도 하죠. 왜 그럴까요? 둘의 단위는 같은 단위 같은데 왜 혼용해서 사용할까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선 굵기의 단위, 제곱밀리미터(㎟)와 스퀘어(sq)의 차이점은?
제곱밀리미터(㎟)란?
제곱밀리미터(㎟)는 전선의 단면적을 나타내는 국제표준 단위(SI 단위)입니다. 전선을 잘랐을 때 보이는 원형 단면의 넓이를 제곱밀리미터로 측정하며, 전선의 허용 전류와 관련된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예를 들어, 2.5㎟ 전선은 가정용 배선이나 콘센트 배선 등에 자주 사용되며, 대략 20A 정도의 전류를 견딜 수 있습니다.

스퀘어(sq)란?
스퀘어(sq)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비공식 단위로, 일본 JIS 규격(일본산업규격(日本産業規格, 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기반으로 파생되었습니다. 한국에서도 자동차 배선이나 전자기기 DIY 분야 등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는 1sq ≒ 1㎟로 인식되지만, 실제로는 제조사나 제품에 따라 약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 1.25sq, 2sq, 3.5sq, 5.5sq, 8sq 등은 자동차 배선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규격입니다.
제곱밀리미터와 스퀘어의 차이점
구분 | 제곱밀리미터(㎟) | 스퀘어(sq) |
---|---|---|
표준 | 국제단위계(SI) | 일본식 관습 단위 |
사용 분야 | 산업용, 건축 전기, 태양광 | 자동차, 전자기기, DIY |
정확성 | 정밀하고 국제 규격과 호환 | 오차 가능성 있음 |
표기 예시 | 1.5㎟, 2.5㎟, 4㎟ | 1sq, 2sq, 5.5sq |
왜 두 가지 단위를 나누어 사용하는가?
1. 역사적/문화적 차이: 일본은 전기 배선용어에서 자체적으로 sq라는 단위를 널리 사용해 왔으며, 한국의 일부 업계도 이를 수입하고, 예전부터 사용하던 단위이기 때문에 계속 사용하여 왔습니다.
2. 용도 차이: 자동차나 소형 전자제품에서는 유연성, 가격, 간편한 표기 등을 이유로 sq 단위를 선호
3. 표준의 차이: ㎟ 단위는 국제 규격에 맞춰 정밀하고 공식적인 계산이 가능하여 전기 공사, 산업용 배선에서는 필수
전선 선택 시 주의사항
- 전선의 단면적이 정확히 어떤 단위로 표기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 허용 전류를 기준으로 전선 굵기를 결정하세요.
- 스퀘어(sq) 단위를 사용하는 전선은 사양서를 통해 실제 굵기와 허용 전류를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전선 길이, 온도, 설치 조건에 따라 전류 허용량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조언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스퀘어(sq) 단위와 ㎟ 단위의 근사 변환표

결론
전선의 단위는 단순히 숫자만 보면 비슷해 보이지만, 사용 환경과 안전성을 고려한다면 단위의 차이를 반드시 이해해야 합니다. 제곱밀리미터(㎟)는 국제적인 기준으로 사용되며, 공식적인 전기 설계나 산업용 제품에서는 이 단위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면, 스퀘어(sq)는 비교적 간편한 단위지만 정확한 사양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배선 작업이나 전기공사를 준비 중이라면, 전선 굵기 단위를 정확히 이해하고 올바른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
쉽게 생각하면 두 개의 단위는 같은 단위라고 봐도 되겠습니다.
'엔지니어링 > 과학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세대학교 전파망원경 소개 - 연세대학교 천문대(한국우주전파관측망 연세전파천문대) 영상 첨부 견학 신청 방법 (0) | 2025.03.24 |
---|---|
미국 매미 떼의 습격 매미의 생장 성장 주기 매미의 유해성 매미겟돈 (0) | 2024.04.29 |
AI메모리 HBM3E 12H 5세대 HBM의 승리는 누구에게 (0) | 2024.03.31 |
OpenAI Sora 소라 AI가 영상 업계 종사자를 위협하기 시작했습니다 (33) | 2024.02.18 |
오로라 발생의 원리 관측할 수 있는 지역 역사 (49) | 2024.0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