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니어링/과학 SCIENCE17 전선 굵기의 단위, 제곱밀리미터(㎟)와 스퀘어(SQ)의 차이점 전선을 선택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 중 하나는 바로 전선 굵기, 즉 전선의 단면적입니다. 그래서 이를 나타내는 단위로는 넓이의 단위인 제곱밀리미터(㎟)와 스퀘어(sq)를 사용하며, 두 단위는 동일한 의미로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차이가 있습니다. 전선 굵기를 말할 때 제곱밀리미터와 스퀘어를 혼용해서 사용하기도 하는데요. 또는 ㎟로 표기되어 있는데 스퀘어라고 읽기도 하죠. 왜 그럴까요? 둘의 단위는 같은 단위 같은데 왜 혼용해서 사용할까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선 굵기의 단위, 제곱밀리미터(㎟)와 스퀘어(sq)의 차이점은?제곱밀리미터(㎟)란?제곱밀리미터(㎟)는 전선의 단면적을 나타내는 국제표준 단위(SI 단위)입니다. 전선을 잘랐을 때 보이는 원형 단면의 넓이를 제곱밀리미터로 측정하며,.. 2025. 5. 16. 연세대학교 전파망원경 소개 - 연세대학교 천문대(한국우주전파관측망 연세전파천문대) 영상 첨부 견학 신청 방법 도심 속에서도 별과 우주를 가까이 느낄 수 있는 곳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바로 서울 연세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세대학교 천문대, 정식 명칭으로는 한국우주전파관측망 연세전파천문대입니다.전파망원경의 웅장한 모습연세대 천문대의 가장 큰 상징은 뭐니 뭐니 해도 대형 전파망원경입니다.멀리서 봐도 압도적인 크기와 구조, 마치 외계와 교신할 것 같은 모습에 자연스럽게 발걸음이 멈추게 됩니다. 가만히 보고 있으면 움직이는 모습도 보이는데요. 아래 동영상 참고 바랍니다. 📍 위치 및 가는 길연세대학교 천문대는 연세대학교 캠퍼스 내에 위치해 있습니다.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은 경의중앙선 신촌역 2번 출구, 약 822m 거리로 도보 10분 내외입니다.네이버지도 기준으로도 "한국우주전파관측망 연세전파천문대"를 검색하.. 2025. 3. 24. 미국 매미 떼의 습격 매미의 생장 성장 주기 매미의 유해성 매미겟돈 매미겟돈매미는 5년, 7년, 13년, 17년 등 소수 주기로 태어납니다. 미국에서는 주로 13년, 17년 주기로 매미가 태어나는데요. 올해가 1803년 이후로 221년 만에 주기가 겹치는 해라고 합니다.곤충학자들은 4월 말(2024년) 부터 올여름 말까지 Periodical Cicada(주기성 매미) 2개 종이 같이 땅 위로 올라와서 활동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들 2종의 매미는 17년 주기 Brood XIII종 과 13년 주기 Brood XIX종 으로 땅속에서 기어 올라오게 됩니다. 17년과 13년 주기의 매미는 1과 자신 이외의 자연수로 나누어지지 않는 소수(17과 13)이기 때문에 최소공배수인 221년이 서로 만나는 출현 주기가 됩니다. 그래서 1803년 이후에 221년이 지나 2024년에.. 2024. 4. 29. AI메모리 HBM3E 12H 5세대 HBM의 승리는 누구에게 HBM(고대역폭 메모리)은 왜 AI 메모리일까? 인공지능(AI) 계산은 수학의 행렬 계산인데요. 컴퓨터의 CPU보다는 병렬계산에 특화된 GPU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일반메모리를 사용하게 되면 GPU의 병렬계산 속도를 따라가지 못합니다. 그래서 병렬계산에 맞게 설계된 고대역폭 메모리인 HBM을 사용해야 합니다. 인공지능 서비스의 성능을 좌우하는 것은 GPU보다는 메모리라고도 볼 수 있는데요. GPU의 성능이 좋아질 때 점점 더 많은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려면 HBM은 그만큼 고성능이 요구됩니다. 5세대 HBM의 승리는 누구에게? GPU 프로세서는 엔비디아에서 주로 생산하고요. 메모리인 HBM은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마이크론에서 생산합니다. 세 개 업체가 경쟁을 하며 아직은 SK하이닉스가 HBM의 최강자.. 2024. 3. 31. 이전 1 2 3 4 5 다음